
1. 설계도 외우기 2. 프로젝트 생성(Spring Legacy Project - Spring MVC Project) 3. pom.xml에 코드 넣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..

1.JS 에서 아래를 설명하시오. -익명함수 함수명 대신 변수명에 함수 코드를 저장하는 구현 방식이다. 익명 함수의 소스 코드는 변수값이므로 끝에 세미콜론 ; 을 대입한다. 익명 함수는 호출 시 변수명을 함수명처럼 사용하면 된다. var 변수명 = function( 매개변수 ) { 실행문; ( 또는 return 반환값(반환 함수); ) }; 익명 함수는 함수 코드가 변수명에 저장된 형태이다. 따라서 변수값으로 구성된 함수 코드를 다른 변수명에 마치 변수를 대입하듯이 이동시킬 수 있다. 1 2 3 4 5 6 7 8 9 10 11 //익명 함수 선언 var apple = function( ) { document.write("This is a banana."); }; //변수명 교체 var banana = a..

1.스프링 에서의 커맨드 객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커맨드 객체(Command Object) 란 HttpServletRequest 를 통해 들어온 요청 파라미터들을 setter 를 이용하여 객체에 정의 멤버 변수에 저장, 다시 getter를 이용해서 꺼내오거나 객체 안에 정의 해둔 함수를 호출해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클래스이다. (게시판의 Dto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하자?) 커맨드 객체의 사용법은 아래의 2번을 참고하자. 2.아래를 프로그래밍 하시오. -국영수 입력 받아 출력 합계 평균 수우미양가 출력 -커맨드 객체 사용 할것 -view폴더 /grade -GradeContrller grade/input - /grade/input.jsp grade/result - /grade/result.jsp -롬복이 ..

1.pom.xml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스프링 프로젝트를 접하면 개발자들은 제일 먼저 pom.xml을 본다. 하지만 이 pom.xml은 사실 프로젝트랑 관련이 없다. 정확하게 말하자면 환경설정과 관련되어있다. (보통 pom.xml -> web.xml -> root-context.xml 순서로 본다...) pom.xml은 Maven과 관련이 있다. Maven(빌드 tool : 컴파일, 테스팅, .jar , .war를 만드는 것을 도와주는 것을 빌드 tool이라고 한다. 즉, 컴파일부터 배포까지를 빌드라고 한다.) → pom.xml (라이브러리를 관리) 이전에 jsp 쓸때는 .jar파일을 매번 lib폴더 안에 직접 넣어줘야 했다. 하지만 pom.xml과 Maven을 이용하면 이런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...
1. JS(자바스크립트)에서 아래를 설명하시오. -Number 함수 Number()은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이다. 만약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값이면 NaN을 리턴한다.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한다.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/*국영수 점수 입력받아서 콘솔로 합계 평균 출력하시오.*/ let kor = prompt("국어 점수를 입력하세요.", 0); console.log("국어 : " + kor); let eng = prompt("영어 점수를 입력하세요.", 0); console.log("영어 : " + eng); let math = prompt("수학 점수를 입력하세요.", 0); console.log("수학 : " + ..

1. 아래와 같이 프로그래밍 하시오. interface Shape - double getArea(); - void setWidth(double width) - void setHeight(double height) 삼각형 , 사각형 객체를 위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, appCTX4에 객체 생성후 Pencile 과 같이 다형성이 적용되도록 Main을 짜시오. 아래와 같이 패키지 생성(shape가 이미 있어서 shape2로 생성) interface Shape 생성 1 2 3 4 5 6 7 8 package com.javalec.ex.shape2; public interface Shape { // 앞에 abstract가 생략된 상태 double getArea(); void setWidth(double width..

1.아래의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-DI (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)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게 아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이다. -IOC (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) 메소드나 객체의 호출작업을 다이렉트로 직접하는 것이 아니라, 외부에서 가져와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. 다이렉트로 객체를 생성해 줄 경우와 객체 호출 순서가 반대로 되기 때문에 제어의 역전이라고 부른다. 이 경우 쉽게 다양한 객체를 생성, 수정이 가능해진다.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예시 참고! -IOC 컨테이너 DI를 주입해 IOC들을 관리해 주는 프레임워크가 바로 IOC 컨테이너, 즉 Spring이다. - [로드 존슨] 이 스프링을 만들 때 위의 세 가지 개념으로 만들었다고 ..

1.템플릿 sb_admin을 적용하여 게시판이 나오도록 하시오. - 템플릿을 적용한 프로젝트 폴더의 webapp에 sb_admin 폴더 안의 내용물을 전부 복사해서 붙여넣기한다. - 기존의 list.jsp를 list2.jsp로 바꾼뒤, tables.html을 복사해서 list.jsp 파일을 새로 하나 만든다.(이때 상단에 jsp 코드 잊지말고 넣기!) - 해당 내용 중 테이블 내용에 해당되는 곳을 기존에 만들었던, el, jstl 코드로 바꾼다. 코드가 너무 길어서 변경한 부분만 첨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예외처리
- 참조형
- 세션
- string
- el
- 입출력
- 래퍼 클래스
- Generic
- compareTo
- 쿠키
- Request
- TreeSet
- 부트스트랩
- abstract
- 진척도 70번
- Servlet
- JSP
- 사칙연산 계산기
- Session
- 프로토콜
- 쓰레드
- equals
- object
- 제네릭
- response
- toString
- exception
- 채팅
- SOCKET
- hashse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